MCP 클라이언트와 서버 아키텍처 이해하기
MCP(Model Context Protocol) 생태계 개요
MCP(Model Context Protocol)는 AI 모델, 외부 도구, 데이터 소스 간의 컨텍스트 정보를 주고받는 방식을 표준화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 생태계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MCP Clients와 MCP Servers.
MCP Clients
정의와 역할
MCP Client는 LLM(Large Language Model)을 호스팅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이들은 MCP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MCP Server와 통신합니다.
MCP Client의 예시
MCP Servers
정의와 역할
MCP Server는 특정 기능이나 외부 시스템과의 통합을 제공하는 서버입니다. 이들은 도구(tools)와 리소스(resources)를 MCP Client에 노출합니다.
MCP Server의 예시
호스트 vs. 클라이언트
cline_mcp_settings.json
`cline_mcp_settings.json` 파일은 MCP Client(Claude/Cline)가 어떤 MCP Server에 연결할지, 어떻게 시작할지, 어떤 환경 변수가 필요한지 등을 정의하는 설정 파일입니다. 이 파일 자체는 MCP Client가 아니라 설정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합니다:
MCP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
│ 호스트 애플리케이션 │
│ (Cline 또는 Claude Desktop) │
│ │
│ ┌─────────────────────────┐ │
│ │ Claude (MCP Client) │ │
│ └─────────────────────────┘ │
└─────────────────────────────────┘
▲
│ MCP 프로토콜
▼
┌─────────────────────────────────┐
│ MCP Servers │
│ (Slack, Browser-use, GDrive...) │
└─────────────────────────────────┘
▲
│ 외부 API
▼
┌─────────────────────────────────┐
│ 외부 시스템 │
│ (Slack API, 웹 브라우저 등) │
└─────────────────────────────────┘
MCP 아키텍처의 작동 방식
이 아키텍처를 통해 Claude는 외부 시스템과 상호작용하여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lack 메시지 보내기, 브라우저 자동화, Google Drive 파일 검색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결론
MCP Client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Cline, Claude Desktop 등)에 내장된 컴포넌트로, MCP 프로토콜을 통해 MCP Server와 통신합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LLM 핸들러를 제공하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이 MCP Client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입니다.
MCP 생태계는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통해 AI 모델이 다양한 외부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AI의 기능과 활용 범위를 크게 확장합니다. 이는 마치 웹의 HTTP 프로토콜이나 하드웨어의 USB 표준과 유사한 역할을 하며, AI 상호작용의 미래를 형성하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Host 없이 Client만 존재할 수 있는가?
MCP 생태계에서 Host와 Client의 관계를 살펴보면, 이론적으로는 Host 없이 Client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구현에서는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Host 없이 Client만 존재할 수 있지만, MCP의 주요 가치인 LLM과 외부 시스템 간의 통합이라는 측면에서는 제한적인 활용 사례를 가집니다. 대부분의 실용적인 구현에서는 LLM을 호스팅하는 애플리케이션(Host)과 MCP Client가 함께 존재하는 형태가 일반적입니다.
← Go home